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모음

여드름 흉터 없애는 법 한방에 정리

by 자음동화 2024. 3. 22.
728x90
반응형

여러분의 피부 고민을 함께 나누고 해결 방안을 제안하는 건당 블로거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공감하실 주제, 바로 '여드름 흉터 없애는 방법'에 대해 깊이 있게 다뤄보려고 합니다. 여드름이 사라진 후에도 남는 흉터 때문에 고민이신 20-30대 남녀분들, 저와 함께 그 해답을 찾아보시죠.

 

 

1. 여드름 흉터

여드름흉터는 염증성 여드름에 의해서 진피층의 콜라겐 조직이 파괴된 정도에 따라 모양과 깊이, 그리고 범위 등에 있어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여드름 자국과 달라요. 

여드름 자국은 여드름이 있던 자리에 염증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홍반과 색소침착이 일어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나 여드름 흉터는 여드름이 생긴 자리의 피부 섬유조직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거나, 섬유조직이 과하게 형성되어 피부가 함몰, 혹은 튀어나오는 상태입니다.

 

여드름 흉터가 오래되면 

여드름 자국은 초기에 붉은색을 띠다가 시간이 지나면 갈색으로 변하고, 수개월이 지나면 점점 색이 흐려지면서 사라져요. 오랜 시간에 걸쳐 자연 치유될 수 있지만, 여드름 흉터는 일단 생기면 자연적인 호전은 어려워요.. 그러므로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흉터의 모양. 깊이, 범위 그리고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가장 적합한 치료를 조합하여 시술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갖습니다.

 

2. 여드름 흉터 제거 방법

 

적절한 세안과 기초 관리

여드름 흉터 관리의 첫걸음은 올바른 세안 방법과 피부 타입에 맞는 기초 스킨케어입니다.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 순한 클렌저로 하루 두 번 세안하고,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주는 것이 중요해요. 특히, 흉터 부위에는 비타민 C, 니아신아마이드와 같은 성분이 포함된 제품을 사용하여 색소 침착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화학적 박피

화학적 박피는 피부의 최상층을 제거하여 새로운 피부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방법입니다. AHA(알파 하이드록시 애시드)나 BHA(베타 하이드록시 애시드)와 같은 성분이 피부 표면의 죽은 세포를 제거하고, 새로운 피부 세포의 생성을 돕습니다. 이 방법은 색소 침착된 흉터와 가벼운 표면적인 흉터에 효과적이에요.

 

레이저 치료

레이저 치료는 여드름 흉터를 개선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특정 파장의 레이저를 이용해 피부 손상 부위에 집중적으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의 재생을 돕습니다. 특히 파인 흉터나 융기된 흉터에 효과적이며, 여러 차례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미세 침 요법(마이크로니들링):

피부에 미세한 상처를 만들어 자연 치유 과정을 통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합니다. 이는 흉터를 줄이고 피부 질감을 개선합니다.

 

3.흉터의 종류

파인 표면이 직각으로 면적이 넓고 평평한 박스형 흉터는 반복된 여드름으로 피부 재생 조직의 형성이 어려워 수두 흉터 모양과 비슷하게 나타나요. 주로 광대뼈와 뺨에 흔해요.

 

송곳 모양으로 깊이 파여있는 흉터는 가장 흔한 모양으로, 올바르게 여드름을 제거하지 못한 경우 아직 배출되지 못한 염증 부산물이 피부 모공 내 남은 상태로 아물게 되면서 생겨요. 주로 이미나 미간, 볼 양쪽에 흔히 생겨요.

 

롤링형 흉터는 파인 표면이 완만한 형태로, 여드름으로 화농이 넓게 발생하였을 경우 이 부위 전체가 가라앉아버린 듯한 흉터를 남기게 돼요. 주로 볼의 가장자리와 턱 라인에 흔히 생기고, 파인 흉터 중에서는 그래도 치료의 효과가 빠른 편이에요.

 

여드름 흉터는 시간이 지나면 옅어지는 여드름 자국과 달리 치료하지 않으면 없어지지 않아요. 여드름이나 수두, 각종 사고로 생긴 흉터는 쉽게 재생되지 않는데 이는 피부 표피층과 진피층이 서로 유착된 형대로 굳어져 진피의 재생이 표피까지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흉터를 효과적으로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피부층 간의 굳은 유착을 먼저 치료한 뒤 진피의 재생을 유도해야 해요. 주로 피부과 레이저 시술 등을 통해 치료를 진행하며, 각 피부 상태와 흉터 종류에 따른 치료법이 병행되는 게 중요해요.

 

 

 

반응형